티스토리 뷰

 

먼저 공식 사이트에서 node.js를 다운받는다. (LTS 붙은걸로 최신버전 다운받기)

 

 

다음으로 node.js 실습할 폴더를 만든다.

VSCode 열어서  nodeJsPractice 라는 이름의 폴더를 만들었다.

최상위 폴더 REACTSTUDY를 클릭하면, 해당 폴더 하위의 첫번째 폴더가 자동으로 잡히는데,

그때 esc를 누르면 파란색 테두리가 프로젝트 전체를 감싼 모양으로 변한다.

그 상태에서 New Folder 해서 만들면 REACTSTUDY 하위에 폴더가 생성된다.

 

폴더 우클릭 후 New File 하여 index.js 파일을 만들었다.

 

nodeJsPractice 경로까지 와주고 나서  node index.js 라고 작성하여 index.js를 실행한다.

터미널에 콘솔로그 결과가 찍힌 걸 확인할 수 있다.

 

* node.js를 설치했기 때문에 node 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 node.js 덕분에 브라우저가 아닌 터미널에서 "node 파일명"으로 자바스크립트를 바로 실행할 수 있다.

 

 

 

npm이란 무엇인가

npm은 node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node.js를 깔면 함께 깔리는 프로그램이다.

node.js에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패키지)를 설치, 업데이트, 삭제를 도와주는 도구이다.

 

* 리액트 프로젝트를 만들었을 때 npm create vite@latest 으로 boilerplate를 다운받았고, npm run dev 해서 localhost로 프로젝트를 열었던 기억이 있다. 이 모든 것은 node.js를 깔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npm 기본 개념

🔹 패키지 (Package)

  • Node.j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모듈, 프레임워크 등의 코드 묶음
  • 예시: express, lodash, axios 같은 라이브러리들이 npm 패키지

🔹 패키지 관리자 (Package Manager)

  • 패키지를 설치, 업데이트, 삭제할 수 있는 도구
  • npm 외에도 yarn, pnpm 같은 대체 도구도 있음.

🔹 package.json 파일

  •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패키지를 관리하는 파일
  • 프로젝트의 의존성(dependencies), 스크립트, 버전 정보 등을 기록

 

node.js에서 npm 패키지를 설치하고 싶을 땐, 터미널 창에 npm install 패키지명으로 작성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Setup.exe 파일을 실행시키는 행위와 동일한 작업이다.) 

 

 

npm init 을 입력하자

터미널 창에 npm init을 입력하자. (init = initialize의 약자로, npm을 시작하겠다 라는 명령어)

첫번째 네모 영역에서는 아무것도 작성하지 말고 엔터를 쭉 누르면 되고,

is this OK? 라고 나오면 yes 입력 후 엔터하면 된다.

nodeJsPractice 폴더 아래에 package.json 파일이 생성되었다. 

 

 

package.json은 이 프로젝트의 이름, 버전, 메인으로 실행할 파일(index.js) 등의 정보와, 

앞으로 npm을 통해 설치할 모듈들의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파일이다.

 

 

 

간단한 모듈을 설치해보자

https://www.npmjs.com/

 

npm | Home

Bring the best of open source to you, your team, and your company Relied upon by more than 17 million developers worldwide, npm is committed to making JavaScript development elegant, productive, and safe. The free npm Registry has become the center of Java

www.npmjs.com

npm 공식 사이트에 figlet을 검색해보자.

이 모듈은 입력한 글자를 아스키 아트로 만들어주는 모듈이다.

 

 

 

공식문서에 어떻게 설치하고 사용하는지 예제 코드가 나와있으니 잘 읽어보고 사용하면 된다.

 

 

package.json

npm install figlet하여 설치했더니, node_modules 폴더 밑에 figlet이 생성되었고,

package.json의 의존성에 figlet이 추가되었다.

이 프로젝트에는 figlet이라는 모듈과 버전이 쓰였다- 라는 대략적인 내용이 적혀 있다.

 

package-lock.json

그리고 package-lock.json 이라는 파일이 생성되었다.

package-lock.json은 package.json의 상세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버전 뿐만 아니라 어디에서 설치한건지(resolved) 등등이 담겨있다.

 

 

* package.json : 대략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파일

* package-lock.json : 내용을 상세하게 알아보기 위한 파일

 

 

//"figlet"이라는 모듈을 요구하겠다 선언
var figlet = require("figlet");

figlet("Hello World!!", function (err, data) {
  if (err) {
    console.log("Something went wrong...");
    console.dir(err);
    return;
  }
  console.log(data);
});
 

 

공식 문서의 Simple usage 내용을 index.js에 붙였다.

require("figlet") 은 figlet 모듈을 요구하겠다라고 선언한 내용이고, 모듈이 설치되어있지 않을 경우 에러가 난다.

 

 

node index.js 해보았더니 잘 실행되었다.

 

 

삭제는 npm uninstall figlet하면 된다.

 

 

 

다음 포스트

https://dev-traveler.tistory.com/54

 

[Node.js] express 프레임워크 설치, express로 간단한 API 만들기

이전 포스팅https://dev-traveler.tistory.com/53 [Node.js] node.js 시작하기, npm 정의와 기본 개념, npm 모듈 설치, 삭제 해보기먼저 공식 사이트에서 node.js를 다운받는다. (LTS 붙은걸로 최신버전 다운받기)  

dev-traveler.tistory.com

 

 

 

출처 : 

https://youtu.be/Tt_tKhhhJqY?feature=shared

 

조코딩 님의 한시간만에 Node.js 백엔드 기초 끝내기 (ft. API 구축) 참고하였습니다. (1분 ~ 17분)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