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 지식

HTTP 프로토콜

여행자0 2025. 2. 4. 22:09

📌 HTTP 프로토콜이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규칙(프로토콜)**이야.
브라우저(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통신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프로토콜이고, 우리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항상 사용돼.

예를 들어,

이처럼 **웹사이트 주소(URL)**는 http:// 또는 https://로 시작하는데, 이게 바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의미야.


🌍 HTTP 통신의 동작 방식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해.

✅ 1. 클라이언트(Client)

👉 사용자가 브라우저(Chrome, Edge 등)를 통해 요청을 보내는 장치
👉 웹사이트를 열거나 데이터를 요청하는 역할

✅ 2. 서버(Serv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고, 응답을 보내는 장치
👉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해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

📌 HTTP 요청-응답 과정 (요청/응답 방식)

1️⃣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냄.
2️⃣ 서버는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고, **응답(Response)**을 반환함.
3️⃣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응답을 받아 웹페이지를 표시함.

📌 예제:

  • 사용자가 https://www.naver.com에 접속
  • 브라우저가 naver.com 서버에 HTTP 요청 전송
  • 네이버 서버가 요청을 받아 홈페이지 HTML을 응답
  • 브라우저가 HTML을 렌더링하여 화면에 표시

🛠️ HTTP의 주요 개념

1️⃣ HTTP 요청(Request)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
구성 요소:

  • 요청 메서드 (GET, POST 등)
  • 요청 URL (/users, /products 등)
  • 헤더 (Header) → 요청 정보 포함 (예: 인증 정보, 데이터 형식 등)
  • 바디 (Body, 요청 본문) → 필요한 경우 요청 데이터 포함

📌 예제 요청:

GET /users HTTP/1.1
Host: example.com
User-Agent: Mozilla/5.0
Accept: application/json

2️⃣ HTTP 응답(Response)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 후 결과를 보내줌.
구성 요소:

  • 상태 코드 (200, 404, 500 등)
  • 헤더 (Header) → 응답 정보 포함 (예: 데이터 형식, 쿠키 등)
  • 바디 (Body, 응답 본문) → 요청한 데이터 포함

📌 예제 응답: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id": 1,
  "name": "Alice"
}

 


📝 HTTP 주요 메서드 (요청 방식)

메서드 설명
GET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
POST 새로운 데이터를 서버에 보낼 때 사용
PUT 기존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
DELETE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

📌 예제:

GET /users HTTP/1.1  → 사용자 목록 조회
POST /users HTTP/1.1 → 새로운 사용자 추가
PUT /users/1 HTTP/1.1 → 사용자 정보 수정
DELETE /users/1 HTTP/1.1 → 사용자 삭제

🔐 HTTP vs HTTPS

프로토콜 설명
HTTP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전달 (보안 취약)
HTTPS SSL/TLS 암호화를 사용하여 보안 강화

✅ HTTPS를 사용하는 이유?

  • 개인 정보 보호 (비밀번호, 카드 정보 보호)
  • 데이터 변조 방지 (중간에 해커가 데이터를 바꾸지 못함)
  • SEO(검색 엔진 최적화)에도 유리

 

🔥 결론

  • HTTP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프로토콜)
  •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을 반환
  • 주요 요청 방식: GET(조회), POST(생성), PUT(수정), DELETE(삭제)
  • 보안 강화를 위해 HTTPS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